한국전쟁과 규장각 도서의 수난
보스톤코리아  2013-10-28, 12:51:06 
나는 이 사실을 여기서 말하지 않으려고 했다 . 그러나 그일이 규장각도서와 관련이 깊고 또 역사적으로 매우 중요한 사건이라  이 기회에 말하지않으면 영영 잊어지고 말것 같아 내가 직접 듣고 또 아는 사실을 적어서 후일에 참고케 하려는 것이다.  전쟁이 끝난지가 10년이 되었다. 평화시대가 도래하는 것으로 알았다. 

그런데 정치투쟁은 여전하였다. 북한에서는 공산주의 적화통일을 목표로 하여 소련의 스타린수상의 승인을 받아 6.25의 전쟁을 일으켰다가 도리어 실패한 꼴이 되고 말았다. 그 책임문제가  논란의 대상이 되었다. 

통일전쟁의 실패에 대한 책임문제는 당연히 인민군 최고 간부에게로 돌아갔다. 김일성 주석은 그에 대한 책임을 모면하기가 어렵게 되었다. 북조선노동당 내부에서도 김일성 주석을  비난하는 소리가 높았다. 

소련으로부터 돌아온 소위 소련파와 남한에서 올라간 남로당 출신들이 중심이 되어 반김일성 운동을 일으켰던 것이다. 공산주의 독재정치 하에서 반란이란 쉽지 않은 일이다. 

그런데 배후의 힘이 되었던 소련의 스타린 수상이 이미 사망하여 소련 정부 내부에 변혁이 일어나고 있었다.  소련의 <후르스초프>는 제20차 전당대회에서 말하기를 관료주의를 배격한다고 선언하고 또 사회주의로의 이행 가능성을 시사했다. 

스타린수상의 독재에 대한 비난의 소리가 높아졌다. 동구공산권 국가에서도 스타린주의를 배격하는 운동이 일어났다. 그여파는 북한에 까지 밀려왔다.

김일성 주석은 최대의 위기에 직면하였다. 그러나 북조선 노동당의핵심당원으로 철저히 무장한 김일성은 곧 반대세력에 대한 숙청에 나섰던 것이다. 

김일성은 중소론쟁을 계기로 하여 소련과의 관계를 멀리하고  중국에 밀착( 2)하면서소련파의 두목인 허가이( 許可而 )가 김일성의 세력을 약화시키려고 북조선 노동당의 확대를 방해하였다고 그를  지방으로 축출하여  자살케 하였다.

 그리고 남노당의 두목 박헌영(朴憲永)은 남한을 공격하면 남쪽의 민중들이 곧 호응하여 통일사업을 쉽게 성취할수 있다고 하면서  6. 25전쟁의 도발을 강권하였다는 것이다 .당시 미군은 철수하고 또 한국은 건국한지가 얼마되지 아니하여 정치적으로 안정을 얻지 못한 때라 그럴 수 있을 것이라고 믿기에 충분하였다. 

그런데  그 반대로 강대 미국이 나왔고  또 유엔 16개국이 참전으로 김일성의 통일전쟁은  도리어 패배한 것이나 다름없는 꼴이 되고 말았다. 그 책임을 누가지느냐 하는 하는 것이었다. 입장이 난처하게 된 김일성은 박헌영의 허황한 권고를 문제삼아 그를 미국의 스파이로 몰아 1955년 12월 처형하고 말았다 이로써 소련파와 월북남로당은 몰락하였다.  

6.25동란이 있은지도 어언 10년이 되었다. 10년이면 강산도 변한다고 하였는데 이제는 과거의 처절하였던 전쟁의 쓰라린 경험도 잊어갈 무렵이다.

1960년대에 들어서면서 이승만 정부의 독재는  더욱 심해졌다. 1961년의 3.15 정부통령 선거에 있어서 부통령선거가  부정이 있었다고 하여 부정선거에 대한  국민의 원성이 높았다. 전국학생들이 들고 일어났다. 4.19혁명이다. 이승만대통령이 하야하고 자유당은 몰락했다.  4.19혁명 후 민주당 정부가 들어섰다.

미국식 민주주의적 정치개혁이 시작 되었다. 그런데 정권을 잡은 민주당이 신 구파로 갈려 권력다툼을 벌인  것이다. 대통령 윤보선과 내각총리대신  장면 사이에도 불화가 잦았다. 정국이 혼란한  가운데 사방에서 데모가일어났다. 

그틈을 타 통일론을 앞세운 좌파와 혁신세력이 활개를 치기 시작했다. 민청학련과 윤길중의(3)진보당 그리고 고정훈의 혁신당이 그것이었다. 기어이 1961년 5.16 군사혁명이 일어나고 말았다. 혁명정부는 계엄령을  선포하고  통제를 강화했다.   
                          
1962년의 어느날이다. 혁명검찰부에서  한 장교가 나를 찾아와 국보 이조실록의  부산 소개에 대하여 혁검에나와 증언해달라는 것이었다. 그 장교의 말은  혁명정부의 점찰부에서 “국보해외 유출에 대한 수사를 하는 과정에서” 전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장 이병도 박사에게 1.4후퇴시 국보 이조실록을 부산에 소개한 사실을 검찰부에 나와 증언해줄 것을 요청하였다는 것이다.

그런데 이병도 박사의  말은  이조실록등 규장각도서중 귀중본의 부산소개는 서울대학교 도서관의 백린 사서관이 그것을 취급하여서 그가 잘 알고 있을 것이니 그에게 물으라고 하였다는 것이다. 아마도 5.16혁명이 있은후 혁검검찰부가 1.4후퇴시 상실하였다고 보는 구황실의 미술품과 장서각의 이조실록이 혹 해외에 유출된 것이 아닌가하고 조사하는 중 나에게 그 증언을 하라는 것 같았다.

그래서 나는 그 장교에게 1.4후퇴시 이조실록 등 규장각도서의 부산소개사실을 대강 설명해 주었다. 그랬더니 그 장교는  말하기를  혁명검찰부에 출두하여 증언하는 대신 이조실록의 부산소개 사실을 서면으로 작성하여 혁명검찰부장 앞으로 제출해 달라고 하였다. 

그래서  1.4 후퇴시 이조실록등 규장각도서중 귀중본의 부산소개 사실을 서면으로 작성하여 혁명검찰부장 앞으로 보냈다. 그때  필자가 혁검검찰부장 앞으로 제출한  <규장각 도서중 언급귀중도서의소개경위> 는 그 전문이 <서울대학교25년사> 와 <서울대학교 도서관 50년사>에 실려 있어서 여기에 다시 언급치 않는다. 


백린 
(보스톤코리아 컬럼니스트
역사문제 연구소 연구위원)



ⓒ 보스톤코리아(http://www.bostonkore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의견목록    [의견수 : 0]
등록된 의견이 없습니다.
이메일
비밀번호
제 65회 홍하상의 일본상인 탐구 2013.10.28
18. 쇠를 금이라 해도 믿는 신용 (2) - 호리킨 박분 (屈金 箔粉) 300년
노스 이스턴 대학교 ( Northeastern University: NU) 2013.10.28
정준기 원장 교육 컬럼
한국전쟁과 규장각 도서의 수난 2013.10.28
창가에서 2013.10.28
디지털카메라의 이해와 활용 컬럼 180
신영의 세상 스케치 419 회 2013.10.28
'가을 산'을 오르며...